반응형
✅ 1. 기준소득월액 상·하한액 조정
- 상한액: 617만 원 → 637만 원
- 하한액: 39만 원 → 40만 원
- 적용 시점: 2025년 7월 1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※ 이후 매년 조정 예정
💸 영향 요약
- 고소득자: 월 최대 약 1만 8,000원 보험료↑
- 저소득자: 최소 약 900원 보험료↑
- 직장가입자: 사업주·근로자 각각 부담
- 지역가입자: 본인이 전액 부담
🛠 2. 건설일용근로자 가입 기준 확대
- 동일 사업장에서 여러 현장 근무한 일수 합산 기준 → 월 8일 이상이면 가입
- 월 소득 220만 원 이상 시 일수와 무관하게 가입 대상 포함
- 가입 산정 방식 개선 → 투명한 가입 기간 관리 가능
https://www.nps.or.kr/comm/quick/getOHAH0011M0.do
📈 3. 국민연금 보험료율 단계적 인상 (2026년~)
- 2025년 중 보험료율은 유지(9%)
- 2026년 1월부터 매년 0.5%p씩 인상 → 2033년까지 최종 13% 도달
🧮 4. 소득대체율 인상 (2026년~)
- 기존 40% → 43% 상향 결정
- 적용 시기: 2026년부터 즉시
- 예시: 월 소득 300만 원 가입자가 40년 납부 시
- 인상 전 연금: 120만 원 → 인상 후: 129만 원
🎁 5. 출산·군복무 크레딧 확대
- 출산 크레딧
- 기존: 둘째 자녀부터 → 개편 후: 첫째 자녀부터 인정, 상한 폐지
- 군복무 크레딧
- 기존 6개월 인정 → 개편 후: 실복무기간 최대 12개월 인정
🧾 6. 저소득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 확대
- 기존에는 납부 재개 12개월간 보험료 50% 지원
🔄 7. 연금 급여액 및 기초연금 2.3% 인상 (2025년 1월부터 적용)
- 국민연금·기초연금 급여액, 부양가족연금 모두 2.3% 인상
- 예: 기존 월 100만 원 → 102만3,000원 지급
📊 8. 공·사 연금 통합조회 서비스 확대
- ‘내연금 알아보기’ 서비스 대상에 공무원·사립학교 교직원연금 포함
- 총 9종 연금 통합 조회 가능
국민연금 수령액 계산기
바로가기 https://www.gov.kr/portal/service/serviceInfo/PTR000050238
✔ 결론 및 실천 팁
- 2025년 7월 이후 급여명세서 확인
- 내연금 알아보기 서비스로 개편 이후 변동 추적
- 출산·군복무 예정자는 크레딧 혜택 꼭 챙기기
- 저소득층 지역가입자면 지원 혜택 확인
반응형